최근 청약에 관심이 생겨 막상 청약 모집공고문을 보면 복잡하고 어려워서 좋은 청약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놓치게 되는 경우 없으셨나요?
막상 알아보면 모집 공고문이 너무 복잡하고 글씨만 많아서 다 읽기 힘드시진 않으셨나요?
그 많은 글 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이 무엇인지 짚어볼게요
1. 우선 가장 먼저 청약홈에 접속을 합니다
-PC 버전의 경우 왼쪽을 보시면 되고, 모바일버전의 경우 오른쪽 위를 보면 파란색 버튼이 있는데요.
파란색 버튼을 누른 뒤에 '청약 일정 및 통계' 버튼을 클릭하세요
- 그러면 또 여러 개의 하위 메뉴들이 뜨는데요. 그중 '분양정보 / 경쟁률'을 누른 뒤 원하는 집 유형을 골라 클릭합니다.
-클릭하게 되면 청약 신청할 수 있는 다양한 주택들이 뜨는데요. 이중 원하는 주택을 클릭한 뒤 본문의 내용 중 '청약 일정'의 오른쪽을 보면 '모집공고문 보기' 버튼을 누르면 모집공고문을 볼 수 있습니다.
2. 내가 원하는 집이 맞는지 확인
청약을 하기 전에 위치와 면적 세대 수 등을 살펴보면서 내가 원하는 집이 맞는지 확인을 꼭 해야 하는데요.
그중 크게 살펴보면 주택공급 면적과 기타 공용면적으로 나눌 수 있고, 두 면적을 합친 면적을 계약 면적이라고 합니다.
- 주택공급 면적
* 주거전용면적: 실제로 살아가는 거실,주방,방 등의 공간 면적이 얼마나 되는가
*주거 공용면적: 계단,엘리베이터,복도 등의 다른 가구와 함께 쓰이는 공간의 면적
-기타 공용면적
* 지하 주차장, 놀이터 등 단지 내에 위치해 있는 공용공간의 면적
3. 내가 낼 수 있는 금액인지 확인하기
청약에 당첨될지, 안 될지 모르기 때문에 일단 해보자 라는 생각을 가지기 전에 꼭 신중하게 따져본 뒤 청약을 신청해야 합니다.
청약에 당첨은 계약금이 부족하다는 이유 등 포기하게 된다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요.
- 청약을 신청할 때 썼던 청약 통장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고, 가입 기간과 금액 등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합니다.
- 일정 기간 동안 청약에 당첨될 수 없게 됩니다. 청약은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내 집 마련 기회를 주기 위한 제도이므로 한 번 포기한 사람에겐 지역별로 5년에서 10년간 당첨될 기회를 주지 않습니다.
-만약 가점제를 통해 청약에 당첨된 경우라면 2년 동안 가점제 청약을 신청할 수 없어요
-만약 특별공급에 당첨된 경우 앞으로 다시는 특별공급 청약을 신청할 수 없어요.
이때 알아야 할 요소 중 공급금액이란?
- 공금 금액은 흔히 알고 있는 분양가격을 뜻하는데 청약에 당첨이 되면 공급금액을 한 번에 다 내는 게 아니라 계약금과 중도금 잔금 순으로 내야 합니다.
*계약금은 청약에 당첨되면 2주에서 4주 안에 분양가격의 10%~20%를 내야 하는데, 그걸 계약금이라고 합니다. 중도금은 아파트 공사 기간에 청약 당첨자가 내야 하는 돈으로 분양가의 60%를 10%씩 6번에 나눠서 내며 모집공고문을 보면 언제 얼마큼의 금액을 내야 하는지 적혀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잔금은 계약금과 중도금을 제외한 20~30%의 금액으로 공사가 다 끝나고 입주할 때 잔금을 납부하시면 아파트 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공급금액과 납부 일정을 확인하고 나의 자산 상황을 비교해가면서 이 금액을 과연 내가 낼 수 있을지? 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한 뒤 청약을 신청해야 하며 , 청약에 당첨되면 2~4주 안에 계약금을 마련할 수 있는지 또한 대출 등을 통해서 중도금을 마련할 수 있는지 등을 먼저 알아보고 고민을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잔금의 경우에는 공사가 완료된 뒤이기 때문에 해당 아파트를 담보로 잡아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계약금 중도금과 비교했을 땐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신청할 자격이 되는지 확인
- 위에 설명해 드렸던 것처럼 청약은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나뉘며 특별공급 중 내가 해당하는 게 있는지 살펴본 뒤 해당 사항에 포함이 되지 않는 경우 일반공급을 살펴보면 됩니다.
5. 청약 일정 및 준비 서류 확인
- 신청하기로 결정했다면 마지막으로 확인해야 할 부분은 일정과 서류입니다.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등 공급 방식과 1순위 2순위 3순위 등 순위에 따라 일정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반공급의 경우를 준비해야 하며 만약 본인이 아닌 제3자가 대신 신청할 경우 이 추가로 필요하니 꼭 준비 서류를 확인하시어 놓치지 않고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청약 공고문 보는 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을까요?
다들 꼭 내 집 마련을 목표로 열심히 살아봅시다!
'일상 Tip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 낮은 사람이 1금융권 대출 받는 방법 (0) | 2022.12.03 |
---|---|
애플페이 한국 출시 (0) | 2022.12.02 |
아이패드 10세대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중 과연 뭘 사야할까? (0) | 2022.11.29 |
2022 아이패드 용도별 구매 가이드 정리 (0) | 2022.11.25 |
LH청년 전세자금 대출 조건, 한도,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