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도가 낮은 사람이 1금융권 대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신용점수가 낮거나 소득이 낮으면 좋은 조건으로 대출받기 어려운 시대에 너무 고금리로 대출을 받아 이자 부담이 높아지는 걸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햇살론, 사잇돌대출과 같은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운영해요
그런데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해서 대출받은 후에 잘 갚아서 신용도가 개선되는 바람에 애매해진 사람들이 있죠
아직 1금융권에서 좋은 금리로 대출받을 수는 없지만 완전 저신용자도 아니라서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할 수 없는 거죠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정부는 햇살론뱅크를 운영해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한 사람에게 비교적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잘 갚도록 유도해 신용도와 부채를 개선함으로써 은행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데요
원래 햇살론은 저축은행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책 상품이지만 햇살론뱅크는 1금융권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입니다.
과연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정상적으로 이용하고 있거나 정상 완제 (모두 갚은 상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원래는 1년인데 2022년 12월 31일까지 3년으로 대상자 확대)
정책서민금융상품을 6개월 이상 이용한 후
부채 또는 신용도가 개선된 저소득 , 저신용자
얼마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지?
500만원 ~ 2500만원 까지
( 개인이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는 보증심사 결과에 따라 상이함)
몇 년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지?
3년 또는 5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3년을 선택하면 거치기간 1년 + 원리금 상환 기간 2년
- 5년을 선택하면 거치기간 1년 + 원리금 상환 기간 4년
- 중도상환수수료는 없음.
금리는 얼마인가?
대출받는 은행이나 사람에 따라 연 4.1~ 10.7% 수준의 금리
보증료도 내야 하는데요. 보증료는 대출 금액의 연 2% 그러나 사회적배려대상자라며 1.0%p, 저소득청년 0.5%P를 인하 받을 수 있습니다. (중복 적용은 불가)
만약 내 대출 금리가 4%이고, 보증료를 감면받ㄱ는 대상이 아닌 경우 2%가 더해져서 총 6%의 금리를 내야 하는데요 중신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이나 캐피탈 대출보다 훨씬 저렴한 평균 금리입니다.
햇살론뱅크 이용 방법은?
13개의 협약 은행에 영업점에 직접 방문하거나 앱을 설치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협약 은행은 광주은행 , KB국민은행 , IBK기업은행 , NH농협은행 , BNK 경남은행 , BNK부산은행 , SH 수협은행 , DGB 대구은행 , 우리은행 , 전북은행 , 제주은행 , 하나은행, 신한은행입니다.
'일상 Tip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는 서울택시 심야 할증률이 2배?! (0) | 2022.12.07 |
---|---|
연말정산 이것은 꼭 챙겨야 해요! (0) | 2022.12.03 |
애플페이 한국 출시 (0) | 2022.12.02 |
아이패드 10세대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중 과연 뭘 사야할까? (0) | 2022.11.29 |
청약공고문 이렇게 쉽게 볼수있다고?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