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Tip 공유

5년 동안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방법

by zumon 2022. 12. 15.
728x90
반응형

매월 70만원씩 5년 동안 저축하게 되면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는 계좌가 생깁니다.
위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저축 계획이 있으시면 참고해주세요!

‘청년도약 계좌’

얼마 전 정부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했어요. 청년들이 목돈을 더 잘 모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3,528억원을 쓰기로 결정했죠. 이 3,528억원의 예산으로 ‘청년도약 계좌’라는 것을 만들 예정이라는데요.
매달 7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그 금액의 3~6%를 더해줘요. 
본인이 낸 돈과 정부가 보태준 돈에 은행 이자까지 더해지면 만기가 됐을 때 실제로 저축한 돈보다 더 많은 돈이 모이게 되는 거죠.

1.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만 19~34세 청년 중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소득을 일렬로 봤을 때 가장 중간에 오는 값 즉 100%를 말하는데요.
중위소득 180%는 이 중간값의 1.8배가 되는 금액이죠

2023년 중위소득은 아래 표를 확인해주세요.
1인 가구인 경우 374만 206원이 중위소득 180%에 해당하는데요 정부는 약 306만 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2. 어떤 혜택이 있는가?

월 70만원을 저축하고 나라가 연 5%일 경우 약 5,000만원을 예상할 수 있어요.
해당 통장에 주기로 한 이자가 결정되진 않았지만 금리가 계속 오르는 요즘 5%보다 높아질 가능성도 있죠
청년도약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

 

3. 청년 희망적 금과 뭐가 다를까?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혜택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은 추가로 가입을 받지 않고 청년도약계좌를 내년 2023년 6월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네요.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가 2년이지만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기간이 5년으로 더 길어요. 매달 70만원이라는 돈을 5년이나 내야 하기 떄문에 청년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아직 정확한 신청 조건이나 혜택이 발표된 것은 아니기 떄문에 출시되기 전까지는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줘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