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T! 이슈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뇌와 컴퓨터 연결 실험

by zumon 2023. 5. 31.
728x90
반응형

뇌와 컴퓨터 연결 실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거 아시나요?

오늘은 점차 Ai시대로 변해가는 시대로 컴퓨터와 관련한 실험들이 많아 지고 있는데, 그 중에 뇌와 컴퓨터 연결 실험에 대해 말해볼게요!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정식으로 인간에게 임상실험을 승인하여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본격적으로 컴퓨터와 뇌를 실레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습니다.

 

사실 1960년대부터 뇌와 컴퓨터를 연결시키는 실험은 시작되었었죠, 인간의 뇌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데 , 과학자들이 뉴런이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전류가 흐른다는 점을 발견하면서 이 미세한 전류를 측정을 잘 하게 되면 뇌의 신호를 읽을 수 있고 컴퓨터와 뇌를 연결할 수 있을것 같다는 가정에서 시작되었어요.

 

그러나 뉴런의 전기신호는 너무나도 미세하다 보니 정확하게 읽어내는 것은 어려웠죠, 이때 과학자들은 브레인 게이트 방법을 알아내는데 아예 인간의 구개골에 구멍을 내어 뇌에 직접 신호장치를 이식하는 방법을 말해요.

실제로 실험이 성공적이었죠.

 

2000년대 초반 4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고, 당시 팔다리가 마비된 사람이 생각만으로 마우스를 움직인다거나 전등을 껐다 켰다 하는 등 을 성공적으로 실험을 했지만 오작동이 너무 많았었죠.

 

브레인게이트 실험을 업그레이드해서 상업화 가능한 수준까지 만들겠다 라는 목표를 잡은 프로젝트는 바로 일론 머스크가 뉴럴링크라는 회사를 차려서 진행한 프로젝트이죠

 

접촉면을 늘려야 뇌에 신호를 더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데 뉴럴링크는 뇌에 심는 전극의 개수를 1000개로 늘려 인간의 뇌에 이식하기 위해 이식로봇도 개발했으나 사람에게 실제로 적용된 적이 없기 때문에 안정선을 아직 확신할 수 없는 단계이며, 모든 전선을 뇌에 계속 연결해두는 것 자체가 불편하기 때문에 동전 크기의 칩을 머리에 같이 넣어 무선으로 뇌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고 해요.

 

만약 이 실험이 성공한다면!

1. 컴퓨터를 제어하는 능력이 획기적으로 빨라진다.

2. 인간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은 가능하나 컴퓨터의 정보를 인간의 뇌에 심는 방법은 사실상 아직 불가능.

 

위에 말씀 드렸듯이 아직 까지는 위험성이 높아요 !!

뉴럴 링크는 그 동안 동물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왔기 때문에 뇌에 칩을 이식한 원숭이 23마리 중에 15마리가 후유증으로 죽었죠.

이에 따라 동물단체에서는 이 실험으로 인해 1500마리의 동물이 죽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뉴럴링크에서는 자신들의 실험은 동물 친화적이라 주장하며 실험 중에 사망한 동물의 숫자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밝힌 동물 실험 성공확률은 80%대 수술이 잘못될 수 있는 확률은 20%가 되는거죠.

 

반응형